2025 에너지바우처 신청방법|6월 1일 시작! 저소득층 겨울 대비 필수 혜택
전기·도시가스요금이 무서운 계절,
정부가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해 ‘에너지바우처’를 현금처럼 지원합니다.
2025년에도 신청 조건과 금액이 확대되었고
온라인 신청도 가능해져 접근성이 좋아졌는데요.
대상자, 신청기간, 신청방법, 사용처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!
에너지바우처란?
저소득층의 냉·난방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지급하는 ‘에너지 요금 바우처(지원금)’ 제도입니다.
- 여름엔 전기요금
- 겨울엔 도시가스·연탄·등유·전기요금 등에 사용 가능
- 실제 요금에서 차감되거나, 실물연료 구매도 가능
2025년 에너지바우처 신청대상
아래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.
1️⃣ 소득기준 :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자 (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급여)
2️⃣ 가구원 중 ‘에너지 취약계층’ 포함 시
취약 사유 | 설명 |
노인 | 만 65세 이상 |
영유아 | 만 6세 미만 |
장애인 | 등록 장애인 (모든 등급) |
임산부 | 산모 수첩 등으로 증빙 |
중증질환자 | 희귀난치·중증질환자 등록자 |
한부모가족 | 법적 한부모 증명서 필요 |
📌 한 가구에 해당자가 2인 이상 있어도 1회만 지급
에너지바우처 지원 금액 (2025년 기준)
가구 유형 | 여름바우처 | 겨울바우처 | 총 지원금 |
1인 가구 | 9,000원 | 110,000원 | 119,000원 |
2인 가구 | 14,000원 | 137,000원 | 151,000원 |
3인 이상 | 19,000원 | 152,000원 | 171,000원 |
📌 겨울 지원금이 압도적으로 큽니다. 도시가스 요금 직접 차감 가능!
신청기간 및 사용기간
✅신청 기간 : 2025년 6월 9일 ~ 2025년 12월 31일
✅ 사용기간 :

❗ 신청은 1회만 하면 여름 + 겨울 모두 자동 사용 가능
❗ 2025년 12월 말까지 꼭 신청해야 합니다.
신청방법 (2025년)
✅ 오프라인 신청
- 가까운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
- 신분증 + 수급자 증명서 지참
- 대리 신청 가능 (위임장 필요)
✅ 온라인 신청
- 복지로, 한국전력공사에서 신청 가능
- 공공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필요
한국전력공사
복지로
바우처 사용방법
1️⃣ 전기요금 자동 차감
- 신청 시 한국전력 고지서 계좌 등록
- 바우처 금액만큼 매월 자동 차감
2️⃣ 도시가스 요금 차감
- 가스회사 자동 연계 → 고지서에서 자동 공제
3️⃣ 연료 직접 구매 (등유·연탄)
- 지자체에서 실물쿠폰 수령 후 사용
- 지정된 판매처에서 바우처 사용 가능
💡 사용 후 남은 금액은 이월되지 않으므로 사용기간 내 모두 사용 필수!
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작년에 신청했으면 올해도 자동 지급되나요?
👉 ❌ 아닙니다. 매년 신규 신청 필요! 1월 31일 이전 신청 필수
Q2. 전세·월세 세대도 신청 가능하나요?
👉 가능! 가구원 중 자격이 있다면 임대 형태와 무관하게 신청 가능
Q3.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이월되나요?
👉 ❌ 아니요. 사용 기간 내 미사용 시 자동 소멸됩니다.
에너지바우처 꼭 신청해야 하는 이유
- 💡 전기요금 119,000원 → 0원 만들기 가능
- 💡 여름철 에어컨, 겨울철 난방비 걱정 줄이기
- 💡 기초수급자이면 10분 만에 신청 완료 가능
- 💡 실제 감면 적용 → 현금 지출 없이 생활비 절감
마무리 요약
- 2025년 에너지바우처 신청기간 : 2025년 6월 1일 ~ 2025년 12월 31일
- 기초생활수급자 + 취약계층 조건 필수
- 총 지원금 최대 17만 원 상당
-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
- 사용기간 내 꼭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 소멸!
전기요금 부담, 이제 혼자서 끙끙 앓지 마세요.
당신이 받을 수 있는 ‘당연한 권리’, 지금 꼭 확인하고 신청해보세요.
👉 혹시 부모님이나 주변에 기초수급자가 있다면 이 글을 공유해주세요.
당신의 한 번의 정보 전달이, 누군가의 겨울을 따뜻하게 해줄 수 있습니다.
'정부지원제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위기상황을 도와주는 마지막 버팀목! 긴급복지 지원금 신청 자격 총정리 (2025년 기준) (1) | 2025.07.13 |
---|---|
2025 출산장려금 지원제도 총정리|출산하면 얼마 받을까? 지자체별 차등 혜택까지 안내! (4) | 2025.07.09 |
2025 다자녀 혜택 바우처 총정리|놓치면 손해! 다둥이 가족 필수 혜택 안내 (5) | 2025.06.30 |
2025 중장년 재취업 지원제도 총정리|경력 20년도 다시 뛰는 시대! (1) | 2025.06.29 |
2025 취업성공패키지사업 완전 정복|맞춤형 취업 솔루션 + 최대 150만원 수당 받기 (4) | 2025.06.29 |